대선 정국이 D-50일에 돌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통 이맘때면 쫓는 자와 쫓기는 자가 명확하게 눈에 띄기 마련이죠. <br /> <br />하지만 아직도 이슈가 거듭될 때마다 양강 후보의 지지율은 엎치락뒤치락 혼전을 이어가고 있고요. <br /> <br />제 3지대의 가능성도 여전히 대선판을 뒤흔들 또 하나의 변수가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 대선에서는 선거를 50일 앞두고 민심이 어떻게 흘렀을까요? <br /> <br />2012년, 제 18대 대선 상황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안철수 바람이 대선판을 흔들었죠. <br /> <br />선거를 50여 일 앞둔 시점에 당시 박근혜 후보가 37%, 안철수 25%, 문재인 21%로 '1강 2중'의 선거 구도가 계속 이어졌고, 막판 단일화에도 불구하고 박근혜 후보가 당선됐습니다. <br /> <br />바로 직전이죠. <br /> <br />2017년, 제19대 대선은 어땠을까요? <br /> <br />0여 일 앞두고 문재인 후보가 37%로 압도적인 선두,이어서 안철수 후보 12%, 홍준표 후보 10%로 뒤를 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대선과 지지난 대선에서는 모두 대선 50일 전 민심이 그대로 당선의 결과를 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번에는 역시 단일화 이슈가 남아있죠. <br /> <br />역대 대선에서는 언제쯤 단일화가 이뤄졌을까요? <br /> <br />가장 드라마틱한 단일화는 노무현의 기적을 이룬 2002년 16대 대선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선을 50일 앞두고는 이회창 후보가 선두로 나서며 1강 2중의 판세를 보였는데요. <br /> <br />대선을 30여 일 앞두고 결국 승부수를 띄웁니다. <br /> <br />노무현, 정몽준 후보가 극적으로 단일화에 합의한 건데요. <br /> <br />이 기세를 몰아 마지막 대선 승리로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10년이 흘러 2012년 18대 대선에서도 단일화 시도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선을 43일 앞두고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후보가 단일화에 합의했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단일화 방식을 두고 치열한 신경전이 계속되면서 결국 마지막까지 삐걱대는 모습에 지지층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했고, 대선 승리는 박근혜 후보에게 돌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의 단일화 시점을 보면, 보통 대선 40일 전에 합의가 있어야, 한 주 정도 단일화 방식을 협의하고, 화학적 결합을 통해 지지층을 흡수할 수 있는 기간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인데요. <br /> <br />결국 설 연휴 전후로는 단일화 이슈가 수면 위로 올라와야 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D-50일, 예측불허 판세에 설 연휴 민심 대이동은 어떻게 흘러갈까요?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11813421158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